위드심

비정형 3단계 결절

1. 갑상선결절의 세포검사 결과, 비정형 3단계란?

갑상선 결절의 세포검사는 암이다 아니다 이렇게 둘중의 하나만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아래와 같이 1단계부터 6단계까지 "단계" 시스템으로 나옵니다.

이렇게 6단계로 판독하는 시스템을 베데스다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처음 이 시스템을 고안한 의사들이 그렇게 이름을 붙였기 때문입니다. 베데스다 시스템이 가장 널리 통용되고는 있지만 모든 병원이 베데스다 시스템으로 판독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갑상선암은 6단계입니다. 일반적으로 "괜찮다"라고 말하는 양성의 경우는 2단계입니다. 3단계는 비정형이라고 부르는데, " 비정형(非精形)" = "정상적인 형태가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림에서 표현한 것처럼 양성(=정상적 형태)의 형태에서는 살짝 빗나갔지만, 암이라고 하기에는 소견이 많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갑상선 결절에서 세포를 채취했는데, 현미경으로 보니 비정형 세포가 검출됐을 때 비정형 3단계라고 진단합니다.

2. 이렇게 애매하게 판독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조금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세포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본다는 것의 의미를 부연하겠습니다.

병리과 선생님이 현미경으로 세포를 본다는 것은 답안지를 보는 것과는 다릅니다. 세포를 본다고 하여 정답이 적혀 있지 않다는 말씁입니다. 현미경으로는 무엇이 보이느냐? 세포가 보일 뿐입니다. 그 세포의 모양이 암처럼 생겼으면 암이라고 진단하는 것이고, 괜찮게 생겼으면 괜찮다고 진단하는 것이며, 암 같지도 않고, 괜찮아 보이지도 않으면, 3, 4, 5단계라고 진단하는 것입니다.

세포 모양을 보고 진단한다는 것을, 우리가 사람의 얼굴을 보고 동양사람인지 서양사람인지 판단하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누가 봐도 동양인인 얼굴이 있고, 누가 봐도 서양인인 얼굴도 있지만, 아무리 봐도 애매한 얼굴도 있습니다. 이럴 때 뭐라고 하시겠습니까?

세포 모양이 양성 같으냐 암 같으냐 판단하는데도 비슷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모양이 애매한 세포가 왕왕 검출됩니다. 비정형 3단계는 모양만 봐서는 애매하다. 양성과 암 사이의 모양을 갖고 있다. 그래서 양성 가능성도 있고 암 가능성도 있다. 그런 의미의 판독입니다. 평균적으로 비정형 3단계 세포가 검출된 결절이 최종적으로 암일 가능성은 10 ~ 15%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3. 암이란 말이냐? 암이 아니란 말이냐?

비정형 3단계로 진단될 경우 최종적으로 암일 가능성은 10 ~ 15% 가량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이 개념도 이해가 쉽지는 않습니다. 이 말씀은 만일 지금 수술한다면 지금 암으로 최종 진단될 가능성이 10 ~ 15% 가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은 암이 아니지만 앞으로 암이 될 가능성이 10 ~ 15% 라는 뜻이 아닙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암 가능성을 10%라 하고,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 환자분에게 비정형 3단계 결절이 있습니다. 이 결절을 지금 수술한다면 암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10 % 있습니다.

암일 가능성이 10%란 의미는, 이 환자분에게 쌍둥이가 10명 있는데 10명 모두 똑 같은 비정형 3단계 결절이 있다고 가정하고, 10명이 모두 수술했다면 그 중의 1명은 최종적으로 암이라고 나오고, 9명은 암이 아니라고 나오는 정도의 확률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4. 비정형 3단계였는데, 다시 검사해서 양성이 나올 수도 있는가?

비정형 3단계가 나오면 많은 경우 재검사를 합니다. 이 때 암으로 확정되어 수술하게 될 수도 있지만, 양성으로 결론이 나서 해피엔드가 되기도 합니다.

비정형 3단계로 진단된 결절의 내부에는 아주 많은 세포들이 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 비정형 3단계 세포만 들어 있는 겻은 아닙니다. 양성 세포도 들어 있고 암세포도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 무슨 결절인지 진단하는 것은 내부에 들어 있는 세포 중에서 제일 나쁜 세포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암세포가 들어 있다면 단 1개가 들어 있더라도 그 결절은 암입니다.

첫 번째 그림은 사실은 양성 결절인데 비정형으로 판독된 경우의 모식도 입니다. 결절 내부에 사실은 양성 세포만 들어 있는데, 조직/세포검사 결과가 비정형으로 나온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암 가능성이 없는 염증 세포가 비정형으로 판독되는 경우라든가, 양성 세포를 채취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비정형으로 판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재검사하여 양성으로 판정을 다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환자분께는 가장 좋은 경우이고 재검사를 통해 걱정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 그림은 세포 내부이 있는 가장 나쁜 세포가 비정형인 경우로, 재검사를 해도 비정형 3단계가 다시 나오거나, 만일 양성세포만 채취된다면 양성으로 오판독 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세번째 그림은 사실은 암인데 비정형으로 저평가된 경우입니다. 결절 내부에 실제로는 암세포도 있지만, 조직검사(세포검사)로 채취하여 몸 밖으로 나온 세포 중에는 비정형 3단계 세포까지만 나오면 사실은 암인 결절도 조직검사 결과는 비정형 3단계가 됩니다.


왼쪽 결절은 초음파 소견상 암이 확실시 되는 결절입니다. 비정형 3단계가 나왔는데 초음파 소견이 이렇게 암 가능성이 아주 높게 보인다면 빨리 재검사를 하여 진단을 다시 해야 합니다.

오른쪽 결절은 초음파 소견상 양성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결절입니다. 비정형 3단계가 나왔는데 초음파 소견이 이렇게 양성 가능성이 높다면, 재검사를 서두를 필요 없으며, 오히려 불필요한 수술을 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나는 어디에 해당할까? 그게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됩니다. 이 판단에서는 초음파 소견이 결정적입니다. 초음파 소견은 암에 대한 예측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비정형 3단계가 나온 경우 초음파 소견을 보고 암 가능성이 얼마나 높을지 판단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재검사 여부와 시기를 결정합니다.

5. 비정형 3단계, 수술을 해야 하는가? 안해도 되는가?

전통적으로는 수술이 원칙이었고, 수년전까지는 거의 모두 수술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불필요한 수술을 최대한 덜 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다보니 반대로 암인데 수술을 안하는 경우도 예방을 해야하기 때문에 진단의 정확도를 더욱 높여야만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재검사를 많이 하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의 chapter 4.에서 설명드린대로 초음파 소견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재검사인만큼 조직을 더 많이 채취하여 판독의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총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유리할 때가 많습니다. 작은 암의 가능성도 놓치지 않기 위해 특수 염색 검사나 염색체 돌연변이 검사를 함께 시행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시행한 재검사 결과에 따라 암 가능성이 있으면 수술을 하고, 암 가능성이 없거나 많이 낮으면 추적검사를 합니다.




상담신청

X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