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심

언론 속 위드심

[하이닥] 수술이 급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은 귀밑-턱밑에 침샘 멍울, 정확한 진단이 우선

조회수 : 130 | 2024-08-06

귀밑 또는 귀 앞 등 귀 주변과 턱밑에 멍울이 만져지는 경우, 침샘 종양이니 수술을 빨리 해야 할 것처럼 이야기하는 병원, 의사들이 많다. 물론 완전히 틀린 이야기는 아니지만, 실제로 진료를 해 보면, 수술을 시급하게 해야 하는 경우 보다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 대표적인 두 질환, 침샘 종양과 림프절 종대를 구별해야 ::

귀밑샘(이하선)은 누구나 침샘 내부에 림프절(임파선)이 정상적으로 분포해 있다. 또한, 목에서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만져질 수 있는 하악골(턱뼈) 아래 림프절과 경동맥 주변 림프절이 바로 턱밑샘(악하선) 주변에 위치한다. 즉, 귀밑, 턱밑에 멍울이 만져질 때, 해당되는 몽우리가 귀밑샘, 턱밑샘과 같은 침샘에서 발생한 것인지, 침샘 주변의 림프절이 비대 되면서 만져지는 것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침샘, 림프절 이외에도 신경종, 혈관종, 새열낭종, 점액종 등 피부 밑 연부조직에 발생한 질환들도 감별을 해야 한다. 이러한 질환들은 모두들 만져지는 귀밑, 턱밑 멍울로 증상이 발생한다. 일부에서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실제로는 정상적인 구조물을 환자가 혹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 침샘 종양인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지만, 시급한 경우는 일부 ::

침샘에서 발생한 혹도 단순 낭종, 점액종, 농양 등 암이 아닌 양성, 염증 질환인지 암 가능성을 더 확인해야 하는 종양인지 구별을 해야 한다. 낭종, 점액종과 같은 물혹은 단순히 내용물을 흡인하거나 약물치료, 경과관찰로 충분한 때가 많아, 수술이 급하지 않다.

많은 환자들이 걱정하는 침샘의 악성 종양, 즉 침샘암은 전체 암 중 0.5%이며,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이 1~2명으로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귀밑샘 보다 턱밑샘이나 혀밑샘에 생긴 종양의 경우 악성일 확률이 높으나, 대개의 경우 50대 이상 연령에서 발병한다. 즉, 침샘에 종양이라고 하더라도 악성이 아닌 양성 종양의 빈도가 더 높다.

조직검사에서 침샘 종양으로 확인된 경우는, 암 여부를 확실하게 진단하고 혹을 치료하기 위해서 수술을 받아야 한다. 특히, 고령의 환자, 혹의 크기가 급격히 커지거나 통증, 임파선 전이를 동반한 경우는 수술을 서둘러 받아야 한다. 하지만, 대개의 침샘 종양은 천천히 진행하므로, 서두르기보다 의사와 충분하게 상의하여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

:: 림프절 종대,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침샘 종양보다 적어 ::

림프절 종대(비대)는 림프절의 크기가 커진 상태이며, 귀밑샘, 턱밑샘 주변 림프절이 커진 경우는 침샘 종양과 거의 비슷한 위치에 멍울이 만져진다.

림프절 종대는 염증, 종양 등을 감별해야 하고, 종양인 경우도 림프관종과 같은 양성 종양을 비롯해 경부 전이암, 악성 림프종 등 임파선암 등을 구분해야 한다. 경부초음파와 조직검사를 통해 상당수 진단이 가능하다. 수술로 림프절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는 일부이며, 수술이 꼭 필요한 침샘 종양 보다 빈도가 훨씬 적다.

즉, 귀와 턱주변에 혹이 만져질 때는, 수술을 해야 하는 부담감, 두려움을 우선 갖기 보다는, 전문의를 찾아 진찰받는 것이 중요하다. 경부초음파, 세침흡인검사, 총생검, 혈액검사 등 정확하게 진단을 우선 받은 뒤 경과를 지켜볼지, 더 정밀한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수술이 필요한지 등의 계획을 꼼꼼히 정한다. 수술을 해야 한다고 환자들에게 강조하는 곳 보다는, 정확한 진단 원칙을 제시하는 의사와 병원을 찾는 것이 도움된다. 

 

:: 원문 기사 바로 가기 ::

 

목록

X